2024 겨울 - 통권 120호
전환의 키워드
다중재난 속 ‘전환’은 정치적 무기력을 벗어날 마지막 기회라는 의미가 짙다. 그래서 우리는 이번 『문화/과학』 특집호를 바로 새로운 세계를 지을 기회와 가능성을 엿보기 위한 전환의 주요 키워드이자 사유의 무기를 점검하는 자리로 삼았다. 전환은, 다중재난을 성찰하는 인간, 사회 약자, 젠더화된 주체, 기후난민, 인간 아닌 뭇 생명 존재 등 서로 다른 배경을 지닌 이들이 함께, 새로운 미래를 도모하기 위해 머리 여럿 달린 후기 자본주의 괴물과 벌이는 지난한 사투가 될 공산이 크다. 이번 특집호가 마련한 “전환의 키워드”에서는 현실의 광폭함이 극에 달할수록, 우리가 딛고 섰던 자리를 다시 돌아보는 일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120호를 내며: 다른 세계를 짓기, ‘전환’의 미래를 위하여 」중에서)
특집_전환의 키워드
1부. 체제 전환의 역사적 모색과 전망
- 인공지능, 기술권, 그리고 디지털 충분성 / 김병권
- 패가 다시 분배된다면, 주사위 또한 다시 던져져야 한다: 1990년대 이후 사회운동의 궤적과 체제전환운동의 전망 / 정정훈
- 좌파 이론의 수용은 사회운동에 얼마나 기여했는가 / 장석준
- 『문화/과학』 120호 특별 좌담회: 체제 전환의 시대, 문화연구의 현재와 미래 / 김성일·미류·이동연·이현재·천주희·정원옥(사회)
2부. 한국사회의 모순과 질곡 넘어서기
- 노동의 ‘정의로운 전환’을 넘어선 전환의 조건 / 전주희
- 젠더, 한없이 하찮고 시시한 전환의 키워드 / 손희정
- 빈곤의 얼굴들 / 소준철
- AI 기술 신경망, 자본주의 멀티모달 비판: 렌티어/봉건 국면에서 공통 연결체 되기 / 신현우
- 인공권력, 인간권력, 자본권력: 계산적 합리화에 의한 민주주의 자동화 시대, ‘AI 대전환’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 김현준
3부. 대안 기획과 전환의 상상력
- 체제 전환의 지렛대, 탈성장 / 김현우
- 돌봄의 정치: 무엇을 돌볼 것인가? / 권범철
- 포스트휴먼 되기의 기술: ‘포스트휴먼’은 무엇이 될 수 있는가? / 김은주
- 동아시아의 저항정치와 국경을 넘는 연대의 가능성 / 홍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