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봄 - 통권 121호
내란, 광장정치
12·3 내란 이후 전개된 광장정치는 그 자체로 거대한 이야깃거리이지만, 편집위원회가 특집을 긴급히 바꾸면서까지 다루고자 한 주제는 광장정치를 주도하는 주체는 누구이며, 그 함의는 무엇인가라는 것이었다. 12·3 내란 이후 열린 광장에는 2030 청년, 성소수자, 장애인, 청소년, 노동자, 농민, 도시 빈민, 이주민, 세입자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했다. 그 가운데서도 2030 여성과 성소수자의 참여가 단연 두드러졌다고 할 수 있다. ‘응원봉’으로 대표되는 2030 여성의 팬덤 문화가 광장정치를 빛의 혁명으로 이끌었다면, 자신의 성 정체성을 밝히면서 ‘자유발언’을 하는 집회 문화를 만들어낸 것은 성소수자 운동의 축적된 성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030 여성, 성소수자와 더불어 이른바 사회적 약자라고 불렸던 주체의 부상은 이번 광장정치의 가장 큰 특징이다. ‘남태령 대첩’은 사회적 약자의 저항과 연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한강진 대첩’의 ‘키세스 시위대’는 윤석열 구속과 정권 교체를 넘어서는 체제 전환의 열망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렇듯 12·3 내란 이후 광장정치를 주도하고 있는, 부상하는 주체를 중심으로 광장의 문화정치를 읽고 그 함의를 분석하는 것이 이번 특집의 목적이다(「121호를 내며: 12‧3 내란 이후 광장의 부상하는 주체와 그 함의 」중에서).
특집_내란, 광장정치
- 12‧3 계엄 국면에서 나타난 네 가지 폭력의 키워드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독재, 제노사이드, 극우, 파시즘 / 신진욱
- 내란죄: 12월 3일 쿠데타의 밤 / 이재승
- “광기의 지상권”: 윤석열 통치권력 체제의 정신분석 / 이동연
- ‘휀걸’과 ‘말벌’: 초대장에 응답‧연대하는 방식 / 정고은
- 무지개 색깔 동지들의 기억 투쟁 / 권창규
- 퀴어 민주주의를 위하여 / 정성조
- 여순에서 남태령까지, 손가락총의 폭력을 넘어: 역사와 언어로 보는 12‧3 비상계엄과 내란 정국 / 최성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