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과학 × 문화사회연구소 × 문화연대 콜라보
<문화/과학> 쓰다 읽다 말하다, 모이다 #5
다른 집/삶은 가능하다
- 일시 : 2021. 6. 25. (금) 19:00~21:00
- 진행 : 온라인 집담회 (신청해주신 분에 한하여 참여하실 수 있는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집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지만
그 관심은 대개 각자의 집에서 각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그렇다면 집은 파편화되고 고립된 삶의 공간에 불과하다.
오래된 문제인 ‘집’은 여전히 우리 삶에 문제적 요소다.
집이 없는 삶은 우리를 불안으로 내몰고,
이 불안을 피하고자 집을 유지하기 위해 애쓰는 동안
집은 우리의 삶을 빨아들이고 삶이 없는 집으로 남는다.
다섯번 째 쓰읽말모에서는 <문화/과학> 106호의 특집글을 중심으로
집을 둘러싼 현상을 진단하고 다른 집/삶의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높아진 집에 대한 관심을 공통의 관심사로 연결하고
집의 의미와 가치를 발명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사회 : 정원옥 _ <문화/과학> 106호 책임편집위원
패널
- 권범철 _ <집-가족을 공통화하기> 글쓴이
- 조형근 _ <공공임대주택에 대해 말하기, 그리고 함께 말하기> 글쓴이
- 이해수 _ <상상된 집 공동체와 아토포스: 집 꾸미기/전시하기와 홈퍼니싱 플랫폼의 시장적 전유 비판>
- 최시현 _ <주택 담보 정동경제> 글쓴이
- 최혁규 _ <도시 재개발을 둘러싼 문화정치: 개발에서 재생으로 그리고 재개발로?> 글쓴이
[ 참가신청 ]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하여 행사는 온라인으로 진행합니다.
아래의 QR코드 또는 링크를 통해 성함과 연락처,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참여하실 수 있는 링크를 보내드리겠습니다.

* 쓰읽말모 #5 다른 집/삶은 가능하다 신청하러가기
문화/과학 × 문화사회연구소 × 문화연대 콜라보
<문화/과학> 쓰다 읽다 말하다, 모이다 #5
다른 집/삶은 가능하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집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지만
그 관심은 대개 각자의 집에서 각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그렇다면 집은 파편화되고 고립된 삶의 공간에 불과하다.
오래된 문제인 ‘집’은 여전히 우리 삶에 문제적 요소다.
집이 없는 삶은 우리를 불안으로 내몰고,
이 불안을 피하고자 집을 유지하기 위해 애쓰는 동안
집은 우리의 삶을 빨아들이고 삶이 없는 집으로 남는다.
다섯번 째 쓰읽말모에서는 <문화/과학> 106호의 특집글을 중심으로
집을 둘러싼 현상을 진단하고 다른 집/삶의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높아진 집에 대한 관심을 공통의 관심사로 연결하고
집의 의미와 가치를 발명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 참가신청 ]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하여 행사는 온라인으로 진행합니다.
아래의 QR코드 또는 링크를 통해 성함과 연락처,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참여하실 수 있는 링크를 보내드리겠습니다.
* 쓰읽말모 #5 다른 집/삶은 가능하다 신청하러가기